
자폐 스펙트럼이란??
발달장애의 종류로 사회적 의사 소통, 상호 작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에 자폐증으로 분류 되었지만 아스퍼거 증후군, 레트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의 발달 장애 증상을 포함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고 명칭하고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은 뇌 발달 관련된 상태로 , 상대방의 감정, 상호작용 , 사회적인 기능이 많이 힘이 듭니다.
경증도에서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행동 패턴과 의사를 내비치기도 합니다.
원인
유전자의 영향을 받기도 하고 아이가 뱃 속에 있을때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유전율이 대략 80% 되며, 뇌 기능 이상, 환경적 요인 (조기 출산, 고령 임신, 출산시 호흡기 부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눈 맞춤
상호 작용을 할 때 눈 마주침이 극히 드뭅니다.
어른들도 매번 눈 마주침을 하진 않지만 불러서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일관 되게 눈 마주침이 없습니다.
본인의 감정(즐거운/관심사) 공유
말을 잘 하지 못하더라도 본인이 경험 했던 즐거운 일을 공유하거나 표현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엄마나 가족, 친구들이 아이랑 같이 하고 싶어서 뭔가를 보여줘도 관심이 없거나 무반응하고 혼자서 놀려고 합니다.
호명반응
자폐 스펙트럼 증상 중 대표적인 예시로 아이를 불렀을때 쳐다보지 않습니다.
뭔가 집중 하고 있을때 쳐다보지 않을 수 있으나, 자폐 스펙트럼의 아이들은 거의 대부분 반응이 없습니다.
사회적 참조
낯선 장소, 낯선 사람에 대한 반응이 일관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낯선 장소나 낯선 사람을 만났을때 아이들은 엄마의 표정을 읽고 반응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폐 스펙트럼 아이는 상대방의 감정을 읽는게 힘들기 때문에 반응이 일관되지 않습니다.
반복적인 패턴
자동차를 일렬로 세우거나 색깔별로 장난감 구분하는 등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보입니다.
이 패턴을 파괴하면 엄청 나게 힘들어 합니다.
감각
소리, 맛, 식감, 촉감 등 다양한 감각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큰 소리(드라이기,오토바이)가 나면 너무 힘들어해서 귀를 막거나 바닷가에 모래를 밟기 힘들어합니다.
아삭 아삭한 식감만을 선호 하거나 말랑 거리는 식감은 먹기 싫어합니다.
치료
아이의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과 횟수가 달라집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고 해서 아이들의 상태와 행동 패턴이 동일하지 않고 다양합니다.
언어 치료, 감각 통합 치료, 인지 치료, 놀이 치료 등 아이의 치료 속도에 따라 1:1 수업, 소그룹 수업으로도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부모가 빠르게 아이 상태를 인정하시고, 치료를 하시는게 맞습니다.
주변에서 아직도 아이 상황을 부정하시고 단순히 느리다고 치부하시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이것은 오히려 아이한테 좋지 않으며, 최대한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자폐 스펙트럼이란 장애가 있어서 꼭 치료를 시작한다기 보단 '느리니깐 도움이 필요하다' 생각하시고 시작하셔도 좋습니다. 다만, 아이가 발달이 느려서 장애가 있어서 어떤 이유라긴 보단 아이한테 맞는 방법을 빠르게 시작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치료를 다니기가 부담스럽거나 힘들다고 하시면 집에서 아이한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부모가 직접적으로 하셔도 좋습니다. 아이의 상태를 부정하고 손을 놓고 있는게 아이를 퇴행시키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예후도 좋고 치료를 꾸준히 한다면 사회적인 사회기능이 많이 올라갈수 있는 아이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서 아이의 상태가 급격히 떨어지고 퇴행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아무리 아이의 상태가 좋고 기능이 많이 올라가도 본인의 가족, 주변 환경도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신경 쓰고 도움을 주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끈기 있게 꾸준하게 아이한테 필요로 하는 것을 찾아서 같이 함께 하는것입니다.
저도 치료를 4년이상 꾸준히 해왔기에 아이와 의사소통이 되고 있습니다. 퇴행 되지않게 꾸준히 더 노력할겁니다. 거북이 엄마들 함께 해요 🐢
'안브로 > 장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 아동 키우는 엄마가 보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0) | 2022.07.27 |
---|---|
자폐 스펙트럼 8살 아들 집에서 보드게임하기 (0) | 2022.07.26 |
자폐 스펙트럼 8살 아들 미디어 줄이기 (0) | 2022.07.22 |
발달장애인 만 6세이상 방과 후 활동서비스 (0) | 2022.07.22 |
자폐성 심한 장애(구,자폐2급) 진단 후기 (0) | 2022.07.22 |
댓글